Curatorial Section
Click

 















Students Section
Click





Yoonsu Lee, Kyungho Min, Jiwoon Baek, Subin Oh, Yeonji Kim, Yeongseo Ok, Yenifferth de la Cruz, Sujin Min, Hayoung Choi, Sujin Park, Daeun Oh, Yujin Lee, Hyejung Kwon, Nayoon Lee, Seoyeon Jo, Suwan Jo, Chaewon Jeong, Yuna Min, Jihyun Lim, Jiin Jeong, Hyunjung Kim, Hyobin Joo, Minseo Kwon, Haeseong Kim, Hyunyoung Cho, Yeonji Oh, Sohee, Choi, Sunwoo Hyun, Yewool Ha, Yeonwoo Kim, Taipova Malika

Mina Kwon, Seungyo Lee, Seojin Yang, Sehyun Jeon, Jiyoon Kim, Hayoung Byun, Simyeon Boo

Hyunjung Lee, Soohyun Lee, Sehee Son, Seojin Yang, Sehyun Jeon, Yeonji Shin, Haerin Choi, Jueun Ha, Minji Kim, Jisoo Shin, Hyerin Lee, Hayeon Lee, Kyungmin Park

⑮ 
Participating Artists:
 Nayoon Kang, Sohyun Keum, Jeongha Ryu, Seoyeon Park, Songyee Park, Kumi Song, Sooyoon Youm, Soyun Won, Anjin Lee, Soomin Lim, Seou Jeong, Yunjeong Jeong, Joohee Jeong, Hyejeong Jeong, Heeyun Jeong, Hyeongji Ju, Nezy Cheun, Hokma Gim, Jeonghyeon Hwang
Curators:
 Dongmin Kim, Suhong Kim, Eunjeong Noh, Haneul Son, Hyejin Shin, Soobin An, Jiyoon Lim, Eunchong Choi






CHAPTER 1 A Question of Quantum Entanglements




양자 얽힘에 관한 질문


With the exponential rise of digital technologies, our intrinsic ties to the natural world have become increasingly fragile. The boundaries between the human and nonhuman are being reconfigured. While science has for centuries organized and rationalized matter and beings by creating taxonomies, boundaries, and classifications, a fundamental shift happened with the development of what was coined the “quantum theory.” This scientific proposition reveals that nature is indivisible. The three films grouped together form the inaugural chapter of All that Weaves the Universe. Together, they introduce the idea of quantum entanglements, and explain how, while this development is dated to 1900, the ideas it expands upon have been thought through and put into practice by generations of elders, for centuries prior. Artists Josèfa Ntjam, Simon Speiser, and Tabita Rezaire navigate these ideas pulling threads. To quote South African philosopher Rutendo Ngara: “The subatomic level of quantum physics has shown that we live in a participatory universe – one of relativity of space and time – one in which all things are inter-connected. Particles are at once destructible and indestructible; matter is both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 Cutting-edge science is finally catching up to eons of indigenous wisdom.”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자연 세계와의 본질적인 유대가 점점 약화되며,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경계가 재구성되고 있다. 과학은 수 세기 동안 물질과 생명체를 분류하고 경계를 설정하며, 이성적인 체계로 구분하고 규정지어 왔다. 그러나 “양자 이론”이라는 개념의 등장으로 전통적인 과학적 분류 체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이 과학적 명제에 따르면, 자연은 결코 구분되거나 나눠질 수 없는 특성을 지닌다. 챕터 1에서는 ‘양자 얽힘’이라는 프로그램 전반의 핵심 주제를 세 편의 영상 작품을 통해 소개한다. 참여 작가 조세파 응잠, 지몬 스파이저, 타비타 르제르의 작품은 1900년경 발전된 양자 이론의 근간이 되는 개념들이 이미 수 세기 전부터 여러 세대와 선조들의 이해와 실천 속에 존재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개념들을 둘러싼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남아프리카 철학자 루텐도 응가라의 말을 인용하자면, “양자 물리학은 미시적 차원에서 우리가 ‘참여 우주’에 살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우주는 시공간이 상대적이며, 만물이 상호 연결되었습니다. 입자는 그 존재에 있어서 파괴 가능성과 불멸성을 동시에 내포하며, 물질은 연속성과 불연속성이라는 이중적 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 수천 년간 전해 내려온 원주민의 지혜에 최첨단 과학 연구가 마침내 근접하고 있습니다.” 









INCLUDED ARTISTSJosèfa Ntjam
Simon Speiser
Tabita Rezaire


      CHAPTER 1
Josèfa Ntjam        조세파 응잠




Quantum Mecanic, 2020, 7 min
ⓒ Courtesy of the artist, Ateliers Médicis, Clichy-sous-Bois, and NıCOLETTı, London 


Josèfa Ntjam is an artist, performer, and writer exploring concepts of fluidity through biology, African mythologies, and sci-fi. In 2020, she was commissioned to create Quantum Mecanic, a film which problematizes the notion of time. Ntjam questions its interpretation in quantum physics and the shift in its apprehension following the period of isolation caused by Covid-19. The film initially unfolds within a linear timeline but is soon disrupted as its main character rejects the idea of T time. Inspired by Heisenberg’s uncertainty principle – a theory demonstrating the impossibility to calculate two properties of the same particle simultaneously –, Ntjam’s work conjures up an undulating time in which it become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Embracing a system of probability divergent to that of classical physics, it displays a time that accumulates in layers; infinitely stretching out.

조세파 응잠은 생물학, 아프리카 신화, 공상과학을 통해 유동성의 개념을 탐구하는 예술가이자 퍼포머, 작가이다. 2020년, 그녀는 시간의 개념을 다루는 영화 <양자역학> 제작을 의뢰받았다. 이 작품에서 응잠은 양자 물리학의 시간 개념과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고립된 시간에 대한 인식을 질문한다. 영화는 처음에는 선형적인 타임라인을 따라 전개되지만, 주인공이 T 시간의 개념을 거부하면서 혼란에 빠진다. 그녀는 ‘불확정성 원리’에서 영감을 받아, 한 입자의 두 가지 속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없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주인공의 위치를 알 수 없게 만드는 파동치는 시간을 구현한다. 또한, 고전 물리학과는 다른 확률적 체계를 수용하며, 시간이 무한히 겹겹이 쌓이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https://ntjamjosefa.com

      CHAPTER 1
Simon Speiser        지몬 스파이저



Naufragio Liberador (Liberating Shipwreck), 2024, 15 min
ⓒ Courtesy of the artist 


Looking at the history of the maroon society of Esmeraldas, Ecuador, through the lens of string theory, Speiser superimposes conceptions of black holes with the occurrences of shipwrecks on the coast of Esmeraldas. These shipwrecks enabled the freedom of Afro-Ecuadorian communities as early as 1533, when they established maroon settlements, which became a haven for many others. Blending together interviews about speculative physics, string and quantum theories, colonial history, footage of rituals and digitally rendered lush landscapes, Simon Speiser’s new film, Naufragio Liberador, is premiering within the exhibition.

지몬 스파이저는 ‘끈 이론’의 관점에서 에콰도르 에스메랄다스의 마룬 공동체 역사를 바라보며, 에스메랄다스 해안에서 발생한 난파선 사건들과 블랙홀의 개념을 중첩한다. 이 난파선들은 1533년경 아프로-에콰도르 공동체의 자유를 가능하게 했으며, 많은 아프리카계 노예에게 피난처가 되어 준 마룬 정착지를 세우게 된 계기이다. 〈해방의 난파선〉은 가설적 물리학, 끈 이론, 양자 이론에 대한 인터뷰, 식민지 역사와 의식을 담은 푸티지, 디지털로 구현된 풍부한 자연 풍경을 유기적으로 엮어 낸 스파이저의 새로운 영상 작품으로,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처음으로 공개된다.  

http://www.simonspeiser.de

      CHAPTER 1
Tabita Rezaire        타비타 르제르



Deep Down Tidal, 2017, 19 min
ⓒ Courtesy of the artist and Goodman Gallery


Navigating digital, corporeal, and ancestral memory as sites of struggles, Tabita Rezaire embraces scientific imaginaries to tackle the pervasive matrix of coloniality affecting our body-mind-spirits. Inspired by quantum and cosmic mechanics, her work is rooted in time-spaces where technology and spirituality intersect. Deep Down Tidal excavates the power of water as a conductive interface for communication. From submarine cables to sunken cities, drowned bodies, hidden histories of navigations and sacred transmissions, the ocean is home to a complex set of networks.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become omnipresent in our industrialized realities, the film prompts us to reconsider the cultural, political, and environmental forces that have shaped them.

타비타 르제르는 디지털 세계, 신체, 조상의 기억을 갈등이 내제된 공간으로 상정하고, 과학적 상상력을 통해 몸과 마음, 영혼에 깊이 각인된 식민주의의 복잡한 양상을 해체하고자 한다. 그녀의 작업은 양자•우주 역학에서 영감을 받아, 기술과 정신성이 만나는 시간과 공간에 뿌리를 두고 있다.
〈조수 저 깊은 곳에〉는 소통을 위한 전도성 인터페이스로서 물이 지닌 잠재력을 모색한다. 해저 광케이블부터 침몰한 도시, 익사한 시신, 숨겨진 항해의 역사, 신성한 전송에 이르기까지, 바다는 복잡한 네트워크의 무대가 된다. 정보통신 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기술 발전의 이면에 자리한 문화적, 정치적, 환경적 함의를 새롭게 조명하길 시도한다. 

https://tabitarezaire.com